본문 바로가기
생활ㅣ건강

바세린을 바르면 속눈썹이 자라날까?

by 하루잉 2023. 5. 23.
728x90
반응형

바세린의 효과는?

바세린은 석유에서 정제된 보습제입니다. 석유라고 들으면 '피부에 나쁜 것은 아닐까?'라고 느낄 수도 있지만 석유 자체가 원래 땅속에서 파낸 천연 유래 성분입니다.

 

보습제라고 해도 바셀린 자체에 보습 성분이 포함된 것은 아닙니다. 그리고 바셀린은 스킨이나 로션과 달리 피부에 흡수가 되지 않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보습제로 쓸 수 있냐면 피부 표면에 유막을 쳐주면 안쪽에서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막아주고 피부를 건조로부터 지켜줍니다.

 

또한 바셀린은 마찰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도 있어 스킨케어 이외에 마스크 착용이나 기저귀 발진, 구두 긁힘 등의 방지에도 유용합니다.

바세린-속눈썹
바세린 속눈썹

바세린을 속눈썹에 바르면 속눈썹이 자라난다?

속눈썹에 바셀린을 바르면 늘어난다는 이야기를 들어보셨나요? SNS 등에서 자주 거론되고 있고 앞으로 해보고 싶은 분들도 많지 않을까요? 이번에는 바셀린으로 인한 속눈썹 관리에 위험성은 없는지 올바른 셀프케어 방법과 함께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바셀린을 바르면 속눈썹이 자란다는 틀린 말?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바셀린에 속눈썹을 늘리는 효과는 없습니다. 원래 바셀린은 석유로 만든 보습제로 피부 건조를 막기 위한 것. 속눈썹을 늘리는 성분은 포함되어 있지 않고 늘어난다는 설에도 의학적 근거는 없는 것입니다.

오히려 속눈썹 성장을 저해할 우려도
바세린을 속눈썹에 바르면 건조와 마찰로부터 보호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공에 바세린이 막히면 염증을 초래하는 데다 유분을 좋아하는 속눈썹 진드기가 번식할 수도 있습니다.

 

바세린이 눈에 들어가면 충혈이나 가려움증과 같은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속눈썹 진드기가 이상 번식하면 가려움증이나 다래끼의 원인이 되어 버리기 때문에 속눈썹 관리에 사용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속눈썹을 기르기 위한 셀프케어 

속눈썹 미용액 사용
속눈썹 영양제는 속눈썹을 보습, 보호, 복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전용 에센스입니다. 뷰러 등의 자극으로 손상된 속눈썹을 미용 성분이 건강하게 정돈해 주기 때문에 오래 기르고 싶은 분들에게도 효과적입니다.

 

속눈썹에 직접 영양을 공급함으로써 강하고 튼튼한 속눈썹 성장으로 이어집니다.

속눈썹 성장에 필요한 영양을 섭취하다
속눈썹의 성장에는 체내로부터의 영양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특히 신진대사 촉진에 관여하는 비타민 B군이나 아연은 적극적으로 섭취하고 싶은 영양소입니다.

 

식사부터 충분히 섭취할 자신이 없는 경우는 보충제를 이용해도 좋을 것입니다. 속눈썹 케어 전용 보충제라면 다양한 영양을 한 번에 공급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입니다.

속눈썹 뿌리를 문지르지 않기
속눈썹 뿌리를 문지르면 모근에서 속눈썹이 빠져나와 성장을 저해하게 됩니다. 눈을 손으로 비비거나 하지 말 것, 클렌징 시에도 리무버를 적신 화장솜으로 부드럽게 쓰다듬듯이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충분한 수면 취하기
속눈썹 성장에는 수면도 필수라는 거 알고 계셨나요? 수면 시에는 성장 호르몬이 많이 분비되기 때문에 풍부한 속눈썹 만들기로 이어집니다.

 

가능한 한 빨리 자는 것은 물론이지만 성장 호르몬을 제대로 분비하기 위해서는 깊이 잠드는 것도 중요합니다. 식사나 목욕은 빨리 끝내고 편안한 환경에서 잠을 자도록 합시다.

 

스마트폰이나 PC의 조작은 뇌를 각성시키기 때문에 취침 1~2시간 전부터 만지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올바른 속눈썹 관리를 선택하자
건강하고 풍부한 속눈썹을 만들기 위해서는 올바른 관리가 필요합니다. 매일의 생활 습관을 재검토하거나 속눈썹 전용 미용액이나 보충제를 이용하는 등 속눈썹이 정말 좋아하는 케어를 계속 실천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전 글 읽어보기]

속눈썹 영양에 좋은 음식

 

속눈썹 영양에 좋은 음식

속눈썹과 영양소 속눈썹에도 영양이 필요합니다. 식사에 신경 쓰면서 필요한 영양소를 섭취하면 속눈썹의 육성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영양 부족이나 편향된 식생활은 속눈썹이 빠지는

positivelive.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