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렴에 걸리면 꼭 입원해서 치료받아야 하나요?
폐렴의 심각도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경우 입원 치료가 필요합니다.
고열이나 호흡곤란으로 산소 공급이 필요한 경우
- 1세 미만 영유아
- 탈수 증상이 있거나 계속 토해서 약을 먹지 못하는 경우
- 65세 이상의 노인
- 기저 질환이 있는 경우 : 당뇨병, 심장 질환, 폐 질환, 면역력 저하 등
- 임신 중인 여성
- 정맥 투여 항생제 치료가 필요한 경우
다음과 같은 경우는 외래 치료가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 증상이 비교적 경미하고 안정적인 경우
- 위험 요인이 없는 건강한 성인
- 경구 투여 항생제 치료가 가능한 경우
-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가 가능한 경우
- 정기적으로 외래 방문하여 치료 경과를 확인할 수 있는 경우
폐렴 진단을 받은 경우, 의사와 상담하여 자신의 상태에 맞는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입원 치료가 필요한지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되는 몇 가지 질문입니다.
폐렴 증상 자가 진단
1. 호흡이 곤란하거나 가슴이 답답한가?
2. 38도 이상의 고열이 있는가?
3. 오한이나 떨림이 있나?
4. 습한 기침이나 가래가 있나?
5. 말을 하거나 걷는 등의 활동을 할 때 숨이 더 답답해지는가?
6. 어지러움이나 현기증이 있나?
7. 혈압이 낮거나 심박수가 빠른가?
8. 혼란하거나 의식이 흐릿한가?
위 질문 중 하나라도 "예"라고 답변한다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합니다.
또한, 폐렴 치료 중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의사에게 연락해야 합니다.
- 호흡이 더욱 곤란해지는 경우
- 고열이 지속되거나 악화되는 경우
- 가슴 통증이 있는 경우
- 더 많은 양의 가래를 객혈하거나 녹색 또는 노란색 가래를 객혈하는 경우
- 어지러움이나 현기증이 심해지는 경우
- 의식이 더욱 흐릿해지는 경우
폐렴은 심각한 질환이지만, 적절한 치료를 통해 대부분의 환자가 완치됩니다. 따라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전 글 읽어보기]
비중격 만곡증 증상 및 치료 예방법은?
비중격 만곡증이란?비중격 만곡증은 코 안쪽을 나누는 벽인 비중격이 비정상적으로 휘어져 있는 상태입니다. 이는 선천적 결함, 얼굴 또는 코에 대한 외상 또는 코 감염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
uheee.tistory.com